분류 전체보기44 2-2. 데이터 통신 : 교환기술(회선교환/메시지 교환/패킷교환) 교환기술 - 이전의 point to point 방식은 N개의 통신장비를 직접 연결한다고 할 때 N(N-1)/2개의 연결선이 필요 - 해결방안으로 각각의 장비들은 통신망에 연결 - 통신망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교환기술(Switching Technology)을 사용 - 교환기술 : 회선교환 / 메시지 교환 / 패킷 교환 회선교환(Circuit Switching) - 공중 전화 망에서 사용 - 데이터 전송과정 1. 회선 설정과정 (물리적인 경로 설정) 2. 데이터 전송과정 3. 회선 해제 과정 단점 : 회선을 설정부터 해제까지 채널의 대역폭을 독점 장점 :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 일정한 데이터 전송률로 전송 - 자원을 독점적으로 예약, 보장된 성능 제공 - 회선 설정(call setup) 시간이 필요 .. 2022. 12. 7. [Python] 연산자 /와 //차이 연산자 / 와 // 둘다 나눗셈을 의미 / 결과는 float형식 // 결과는 int 형식 2022. 12. 7. TCP/IP통신구조와 HOST/SWITCH/NETWORK의 관계 # TCP/IP 통신구조 분류 기준 MODE OSI DoD 식별자 구현 S/W USER L7 HTTP Application 어플리케이션단 Process file -> tcp/ip socket : tcp를 usermode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가 접근할 수 있도록 파일형식으로 추상화한 인터페이스 L6 L5 KERNEL L4 Transport Transport 전송단 Port번호 -> 여러 형태로 식별의 대상 변화 TCP L3 Network Network 네트워크단 IP주소 -> Host에 대한 식별자 IP H/W L2 Access 접근단 MAC주소 -> NIC(LAN카드:유/무선)에 대한 식별자 NIC L1 * NIC하나에 여러 IP주소 바인딩 가능, 즉 컴퓨터 하나에 여러 IP가능 * MAC주소도 변경 가능.. 2022. 12. 7. 2-1. 데이터 통신 2장 데이터 통신 컴퓨터 네트워크 보다는 좀더 포괄적인 언어 전송모드 직렬과 병렬 전송 (Serial and Parallel Transfer) - 병렬 전송 여러 전송라인을 통해 비트들을 동시에 전송 이러한 병렬 전송은 두 장치들 간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 예를 들어 pc에서 프린터로 전송하는 것은 대표적인 병렬 전송 가장 보편적인 예는 컴퓨터와 주변 장치들 간의 연결 (cpu 메인메모리 하드디스크) 비용문제 등으로 병렬 전송은 긴 거리일 경우 장점 상실 - 직렬 전송 직렬 전송 단지 하나의 라인을 사용하여 하나씩 모든 비트를 보냄 긴 거리일 경우 병렬 전송에 비해 적은 비용이 들고 신뢰성 증가 그러나 비트를 하나씩 보내게 되므로 병렬 전송 보다 더 느림 비동기식 전송 - 한 번에 한 문자.. 2022. 12. 7. 이전 1 ··· 5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