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CP/IP 통신구조
분류 기준 |
MODE | OSI | DoD | 식별자 | 구현 | |
S/W | USER | L7 | HTTP | Application 어플리케이션단 |
Process file -> tcp/ip socket : tcp를 usermode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가 접근할 수 있도록 파일형식으로 추상화한 인터페이스 |
|
L6 | ||||||
L5 | ||||||
KERNEL | L4 | Transport | Transport 전송단 |
Port번호 -> 여러 형태로 식별의 대상 변화 |
TCP | |
L3 | Network | Network 네트워크단 |
IP주소 -> Host에 대한 식별자 |
IP | ||
H/W | L2 | Access 접근단 |
MAC주소 -> NIC(LAN카드:유/무선)에 대한 식별자 |
NIC | ||
L1 |
* NIC하나에 여러 IP주소 바인딩 가능, 즉 컴퓨터 하나에 여러 IP가능
* MAC주소도 변경 가능
- PORT번호
- s/w개발자입장에선 process식별자
- network 관리자 입장에서는 service식별자
- H/W계층을 다루는 분에겐 interface식별자
# HOST / SWITCH / NETWORK의 관계
HOST : 네트워크(인터넷에)로 연결된 컴퓨터.
NETWORK :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예 "INTERNET"
- 인터넷은 router의 거대한 집합체
- 인터넷을 이루는 핵심구성요소 router, dns
즉, HOST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 HOST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 : NET이용주체 / NET자체이용
1. net이용주체 = end-point (end-point machine : 단말기)
- 역할에 따라 host 나눔
- 클라이언트/서버, peer라고도 함
2. 네트워크 자체를 이루는 컴퓨터 = switch
- router -> 경로선정 위한 switching
- f/w(방화벽) -> 보안을 위한 switching
- ips -> 보안을 위한 switching
**참고
가장 비쌈 http L7 Switch
.
.
. IP L3 Switch (router)
가장 쌈 mac L2 Switch
.
참고 : [youtube] 널널한 개발자TV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데이터 통신 : 패리티검사(Parity Check)와 검사합(Checksum) (0) | 2022.12.08 |
---|---|
2-2. 데이터 통신 : 교환기술(회선교환/메시지 교환/패킷교환) (1) | 2022.12.07 |
2-1. 데이터 통신 (1) | 2022.12.07 |
1-1. 컴퓨터 네트워크 기초 (0) | 2022.12.06 |
0.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0) | 2022.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