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Network

1-1. 컴퓨터 네트워크 기초

by pizzz 2022. 12. 6.

1장 네트워크 기초

컴퓨터 네트워크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이해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 강의

프로토콜 강의

기본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강의

 

컴퓨터 네트워크 (Computer Network)

- 전송 매체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공유, 교환하는 컴퓨터의 모음
- 네트워크 예) 인터넷

 

프로토콜(Protocol)

- 정보교환을 위해 필요한 통신 규약

  • 프로토콜 예) HTTP (웹서비스), TCP/IP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프로토콜) P:protocol
  • 통신을 위해선 프로토콜이 맞아야함
  • 데이터를 보낼때의 형식 <-> 받았을 때 해야하는 행위
  • TCP 연결 요청 <-> TCP 연결 응답

컴퓨터 네트워킹 이유

1. 연결과 통신

- 사무실이나 빌딩 내에 있는 사용자는 LAN(Local Area Network) 통해 보다 큰 규모의 WAN(Wide Area Network)에 연결

- 원격의 사용자와의 통신을 통해 효율적으로 정보를 송수신

2. 데이터 공유

- 컴퓨터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

-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쉽고 빠르게 데이터 공유

3. 하드웨어 공유 : 하드웨어 공유를 통해 경비 절감 (예 : 프린터)

4. 데이터 보안과 관리 :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에 저장, 데이터 읽기/ 수정 관리 (효율적으로 보안, 관리)

5. 성능 개선 : 업무를 여러 컴퓨터에 분산시켜 동시에 처리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두 가지 방법

1) 유선 (wired) 스위치
2) 무선 (wireless) wifi

 

<기초용어>

- 노드(Node) :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장비를 일반화한 용어 --> pc, switch, router도 하나의 노드가 될 수 있음

- 호스트(Host) :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는 컴퓨터를 일반화한 용어 --> pc나 laptop

- 클라이언트 (Client) : 서비스를 요청하는 호스트

- 서버 (Server) : 서비스 요청을 받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nterface)

  • 호스트와 컴퓨터 네트워크의 연결지점
  • 보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라고 말함

- 전송 매체 (Transmission Medium)

  • 송신측 호스트와 수신측 호스트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물리적인 선로
  • 유선전송매체와 무선 전송 매체로 구분
  • 링크(Link)라고도 함

- 채널(Channel)

  •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
  • 유선과 같은 전송매체 또는 무선(Radio)채널과 같이 다중화(Multiplexing)된 전송매체에서 하나의 논리적 연결(Logical Connection)을 말함
  • 채널의 전송용량은 bps(bit per second)단위의 전송률 또는 Hz단위의 대역폭(Bandwidth)으로 표시

- 비트(Bit,b) : 0이나 1을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

- 바이트(Byte, B) : 1바이트=8비트, 자주사용

- 니블(Nibble, N) : 4비트, 거의 사용X

 

* 컴퓨터 기본단위 : byte(B), bit

*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 : KB, MB, GB

2^10= 1024 = 1KB

2^20 = 1024*1024 = 1MB

2^30 = 1024*1024*1024 = 1GB

2^40 = 1TB

2^50 = 1PB

2^60 = 1EB

2^70 = 1ZB

 
Number System
- 2진수 (Binary Number)
- 10진수 (Decimal Number)
- 16진수 (Hexa - Decimal Number)

- 변환법


컴퓨터 통신구조

1) ISO제정한 OSI7계층 통신구조
2) 인터넷 프로토콜 구조 5계층


배경
- 서로 다른 시스템간의 통신을 하나의 모듈로 처리하기는 복잡
- 기능별로 통신기능을 갖는 모듈로 세분화하여 구현
- 세분화된 모듈을 계층화한 구조가 컴퓨터 통신구조


계층화 하는 이유
- 복잡한 시스템의  각 부분을 식별하고 연계하는데 좋음
- 모듈화는 시스템의 유지 및 개선을 용이하게 함
- 특정 모듈을 변경하더라도 다른 모듈에 영향을 주지 않음

 

웹 서비스를 위한 통신구조

- 웹문서 요청 모듈- 통신 서비스 모듈- 네트워크 접근 모듈

 

대표적인 컴퓨터 통신구조

- 인터넷 TCP/IP 통신구조 (현재사용 : 핵심)- OSI 7계층 통신구조 (참조모델)

 

인터넷 통신구조

- 응용(applicatoin) : 응용 서비스 지원 HTTP, FTP, SMTP

- 트랜스포트(transport) : 호스트 간의 데이터 전송 TCP, UDP

- 네트워크(network) : 라우팅 IP(핵심),RIP

- 데이터링크(datalink) : 네트워크 노드 간의 데이터 전송 Ethernet

- 물리(physical) : 물리적인 케이블

 

- 임의의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통신할 때 얼마나 많은 프로토콜이 사용되는가?

-> web, http, tcp, ip, ethernet(csma/cb)

                   USER

 

표준화

표준화의 필요성

- 정보통신 표준 : 정보통신 시스템 간에 미리 합의된 규약의 집합

- 표준화 : 정보통신 시스템 간의 프로토콜을 정립하는 활동

- 정보통신 분야에 있어서 

 

- ANSI C언어

- EIA

- TIA

- IEEE(I트리플E) 이더넷, 와이파이

- ETSI

- IETF : 인터넷 표준규격을 제정, HTTP F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