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Internet Protocol)
IP(Internet Protocol) : 인터넷 통신규약
IP주소 = Host에 대한 식별자
IPv4와 IPv6
- 차이점 : 주소길이
- IPv4 32비트 = 2^32 = 약 43억
- IPv6 128비트
*ip주소 확인방법
cmd창 -> ipconfig
IPv4 주소체계
IPv4의 주소길이는 32bit, 즉 2^32로 약 43억(보다 약간 적다) 대의 IP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 논리적으로 네트워크(인터넷)에 연결 할 수 있는 HOST(컴퓨터)는 약 43억 대가 된다.
* 논리적이라는 표현을 쓴 이유는 실제로는 여러 기술로 인하여 43억 대 이상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지만 IPv4 주소체계를 개념적으로 이해하기 위함
IP주소는 x.x.x.x 형태로 8bit(2^8) 씩 끊어서 표기된다.ex)
192.168.60.14
- 00000000 (0) ~ 11111111 (255) 까지 가능
IP 주소형태
IP주소 = Net ID + Host ID
IPv4에선 총 32(bit)이기 때문에
예컨대 Net ID가 24(bit)라면
Host ID는 8(bit) 이다. (32-24)
서브넷마스크
IP주소에서 Net ID를 나타내는 것 -> "서브넷마스크"
ex) ip주소 = 192.168.60.14
서브넷마스크 = 255.255.255.0
일 때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의 왼쪽 8비트를 이진수변환하면 아래와 같다.
11000000 (192)
11111111 (255)
---------------- AND연산 (둘 다 1 일 때만 1)
11000000 (192)
두 값이 1일 때만 1이 되는 and연산을 수행하여 계산하면 서브넷 마스크 값이 255인 부분은 IP주소 값 그대로이다.
00001110 (14)
00000000 (0)
---------------- AND연산
00000000 (0)
하지만 오른쪽 8비트 부분을 and연산 한다면 0이 된다.
즉, Net ID값과 Host ID값은 아래와 같다.
-> Net ID = 192.168.60.0 (24bit)
-> Host ID = (8bit)
CIDR방식 표기법
최신의 IP주소 할당 방법으로 IP주소 뒷 부분에 Net ID를 /x 형태로 표시한다.
192.168.60.14/24
-> Net ID = 24bit
(즉, 192.168.60.0)
참고 : [youtube] 널널한 개발자TV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5-6.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팅 : 스위치와 허브, FTP와 SMTP (0) | 2023.01.04 |
---|---|
5-5.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팅 : 인터네트워킹 (0) | 2022.12.28 |
5-4.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팅 : 인터넷 계층 프로토콜 (0) | 2022.12.27 |
5-3.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팅 : 비클래스 주소방식 (0) | 2022.12.27 |
5-2.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팅 : 인터넷 주소 기법 (0) | 2022.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