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코테 연습 문제 푸는 도중 엄청난 풀이를 발견...
이런 문제였는데
부끄럽지만 나는 이렇게 풀었고...
def solution(s1, s2):
result = 0
for i in range(len(s1)):
if s1[i] in s2:
result += 1
return result
어떤 멋진 분들은 이렇게 풀었다..
def solution(s1, s2):
return len(set(s1)&set(s2))
내 코드 눈감아....
set함수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set 함수는 한마디로 '집합'
수학적으로 순서가 없고 인덱스가 없는 모음이다.
set은 원소들을 중괄호{}로 묶어준다.
즉, set함수를 사용하면
원소들을 순서 상관없이 출력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풀이는 내장함수인 set을 이용하여 집합으로 만들어 준 후
&(and)로 묶어주어 양쪽 집합에 모두 존재하는 원소만을 뽑아
len을 사용하여 그 갯수를 알아낸 것이다.
아주 똑똑..
'Language > Python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연산자 /와 //차이 (0) | 2022.12.07 |
---|---|
Python 03_문자열 (0) | 2022.06.29 |
Python 02_제어문 (0) | 2022.06.29 |
Python 01_ 변수 (0) | 2022.06.27 |